본문 바로가기

지하철

[로템B] 신상 공항철도 전동차 "검암역에서 만나요" 현대로템이 이달 29일까지 검암역 광장에서 열리는 신규 전동차 실물모형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열차 마니아 여러분, 이번 주말은 여기에서 모여봐요. 더 나은 품질 위한 실물모형 전시 품평회 이번 전시는 오는 2025년 새로 운영될 공항철도 전동차 실물모형을 대중에게 처음 공개하는 동시에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실물모형은 제품 생산 전 실물과 동일한 형태의 시제품을 만드는 건데요. 생산 전에 미리 개선점을 파악하고 향상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 과정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단계예요. 속도 편의 안전 겸비한 미래형 전동차 신규 전동차는 더욱 깔끔해진 외관과 함께 한층 향상된 실내 특징을 선보였는데요. 이번 전동차는 최고 시속 150㎞를 자랑하는 만큼 전두부 디자인을 날렵하고.. 더보기
세계 금연의 날 기념, 호랑이 열차에서 담배 피우던 시절?! 현재 식당이나 카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은 물론 다수가 이용하는 길거리 곳곳은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지만, 불과 2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금연 구역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버스와 지하철, 열차에서도 흡연하는 승객을 쉽게 볼 수 있었던 그 시절! 오늘 현대로템 블로그에서는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열차 내부 및 승강장 등이 금연 구역이 되기까지의 발자취를 알아보겠습니다. 모두 노담하세요! 5월 31일은 세계 금연의 날 매년 5월 31일은 세계 금연의 날입니다. 198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담배 연기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제정한 날이죠. 우리나라 흡연율은 OECD 가입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습니다. 1998년만 해도 성인 남성.. 더보기
현대로템과 함께 알아보는 서울 지하철 통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우리의 출퇴근길의 모습은 많이 변했습니다. 그중 무엇보다 재택근무 비중이 높아지면서 대중교통 이용 승객이 현저히 줄었다고 하는데요. 오늘 현대로템 블로그에서는 서울교통공사가 발표한 공사 운영 구간의 연간 지하철 수송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의 일상 모습이 반영된 다양한 지하철 통계를 소개합니다. 코로나 전과 후, 지하철 이용의 변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 지하철 호선별 수송인원을 살펴보면 코로나 이후에 전 호선의 수송인원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 기준 2021년 연간 총 수송인원은 약 19억 9,935만 명(1~8호선 19억 5,103만 명)입니다. 이는 2020년의 약 19억 7,912만 명(1~8호선 1.. 더보기
지하철 타고 떠나는 서울 벚꽃 여행 스팟 추천 봄 내음이 물씬 풍기는 요즘, 전국 곳곳으로 벚꽃 나들이를 떠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비록 올해도 전국의 벚꽃 축제는 대부분 취소되었지만,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3년간 폐쇄되었던 벚꽃길이 다시 열리며 벚꽃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오늘 현대로템 블로그에서는 지하철로 편리하게 갈 수 있는 서울 벚꽃 여행 스팟으로 떠나보겠습니다! 서울 벚꽃 명소 1.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아는 사람만 아는 서울 벚꽃 명소 중 하나입니다. 국립서울현충원은 수양 벚꽃길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수양벚꽃은 수양버들처럼 줄기와 잎이 아래로 축 늘어져 자라는 벚꽃입니다. 가지가 땅에 닿을 듯 늘어져 있어 벚꽃이 더욱 고풍스럽고 풍성하게 보이죠. 수양벚나무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수모를 겪은 효.. 더보기
2021 지하철 유실물 1위는 OO?! 지하철에서 잃어버린 물건 찾기 TIP! 여러분은 혹시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린 적 있으신가요?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작년 2021년 한 해 동안 서울 지하철에서 습득한 유실물은 무려 총 10만 1,523건이며, 하루 평균 약 278건이 접수되었다고 하는데요. 접수 건수가 많은 만큼 유실 경로와 물건의 종류도 아주 다양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지하철에서 제일 많이 잃어버리는 물건은 무엇일까요? 오늘 현대로템 블로그에서는 지하철 유실물 유형과 쉽고 빠르게 잃어버린 물건을 찾을 수 있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지하철에서 가장 많이 잃어버린 물건은? 2021년에 유실물로 접수된 물품 중 1위는 24,737건으로 총 접수 건수의 24%를 차지한 지갑이었습니다. 다음으로 휴대폰과 귀중품이 20%, 가방이 15%, 의류가 14%로 뒤따랐.. 더보기
알아두면 쓸데있는 급행열차 상식 출근 시간의 전철역, 많은 사람이 일반열차를 보내고 급행열차를 기다립니다. 일반열차를 몇 대 보내더라도 급행열차에 탑승하는 것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급행열차는 대체 어떻게 운행시간을 줄이고 있는 걸까요? 오늘 현대로템 블로그에서 알아두면 좋은 급행열차의 이모저모를 살펴봅니다. 급행열차 VS 일반열차 먼저 급행열차와 일반열차의 차이를 알아볼까요? 급행열차는 '일부 역을 통과해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로, 모든 역에 정차하는 일반열차와 대비됩니다. 그렇다면 급행열차와 일반열차는 서로 다른 열차일까요? 정답은 ‘NO!’ 동일한 사양의 철도차량이 일반 노선과 급행 모두 운행합니다. 급행과 일반열차의 속도 자체는 차이가 없지만, 정차하는 역 수가 적은 만큼 표정속도가 올라갑니다. 결과적으로 급.. 더보기
을지로3가역이 OO카드역?! 지하철 역명 병기 이야기 매일같이 이용하는 대표 대중교통, 지하철. 그런데 어느 날, 안내방송에서 익숙하던 역명 뒤에 새로운 이름이 길게 이어져 불리는 것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처럼 기존의 역명에 부가적으로 더해지는 이름을 ‘병기역명’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병기역명을 선정하기 위한 서울 지하철 역사의 ‘역명 병기 사업’에 대해 알아보고, 올해에 새롭게 표기되는 병기역명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역명 병기 사업, 어떤 기관이 지원할까? 유상 역명 병기 사업은 2016년에 처음으로 시행되어 총 26개 역, 24개 기관을 대상으로 병기역명을 적용해왔습니다. 하지만 2017년에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합쳐져 서울교통공사가 출범한 뒤로는 사업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진 않다가, 지난 2021년 7월 역명 병기 사업이 재추진 됐는.. 더보기
2022년 대한민국 철도, 어떻게 달라질까?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2021년은 코로나19와 기후변화 등 당면한 문제들로 인해 다소 힘든 시간을 거쳐왔는데요. 새롭게 맞이한 2022년에는 현명한 대응으로 일상을 회복하고 더욱 행복하고 희망찬 일들이 가득하기를 소망하며, 오늘은 2022년에 더욱 발전하고 달라지는 대한민국 철도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활동반경 넓히는 친환경 열차 KTX-이음 국토교통부는 지난 21년 12월 23일,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첫 로드맵인데요. 향후 2050년까지 ‘국민의 생활 터전이 되는 모든 공간과 이동 수단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건물, 교통, 국토 및 도시기반, 국외 감축 분야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0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