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혹한과 폭염, 이란성 쌍둥이! 기후변화 문제 ‘적색경보’

Future & Life

by 현대로템 2018. 8. 3. 17:02

본문

2018년 대한민국의 여름을 겪은 국민들은 이제 ‘난생 처음 이렇게 더운 날씨를 겪어 봤다’고 누구나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난 8월 1일 홍천의 낮 최고기온이 섭씨 41도를 돌파하면서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역시 마찬가지로 8월 1일 낮 최고기온이 섭씨 39.6도라는 기록적인 폭염이 엄습했는데요. 올 여름 역대급 폭염을 가져온 기상 요인이 올 겨울 역대급 혹한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혹한과 폭염, 그 원인과 대처 방법에 대해 현대로템 블로그에서 전해 드립니다.


‘서베리아’ 이어 ‘서프리카’… 연교차 60여 도의 극한체험

2018년 1월, 우리나라에는 ‘역대 최강 혹한’으로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는 강력한 겨울 한파가 찾아왔습니다. 서울시의 지난 1월 26일 최저기온은 섭씨 영하 17.8도로 체감온도는 영하 25도 이하로 떨어졌고, 영하 10도 미만 및 영하 15도 미만의 날씨가 수 일간 계속되어 동파사고가 잇따라 일어났습니다. 이렇듯 혹한이 몰아치자 수도계량기 동파가 이어졌으며, 세탁기 동파와 함께 오수관이 얼어 물이 넘치는 등 일상생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지난 겨울 혹한은 안타까운 결과도 가져왔는데요. 2018년 1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1월 사망자 수는 2017년 1월 대비 22%가 증가한 3만 1600명으로, 월 사망자 수가 3만 명을 넘긴 것은 통계 확인이 가능한 1983년 이후 처음입니다. 1월 평균 기온이 섭씨 영하 2도로 평년보다 낮았을 뿐만 아니라 전국 평균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로 기록될 정도로 추운 날씨 때문에 전례 없이 사망자가 증가한 것입니다.

당시 시베리아보다 더 추운 서울 기온으로 ‘서베리아’라고 불렸던 기억이 엊그제 같은데, 지난 8월 1일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섭씨 39.6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온으로 ‘서프리카’라는 또 하나의 별명을 얻게 되었습니다. 연교차 60여 도에 육박하는 폭염은 온열질환자 및 사망자 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집계를 시작한 지난 5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2천 549명이며 사망자는 30명으로, 2018년 여름 역대 가장 많은 온열질환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겨울이 추우면 여름이 덥다! 혹한과 폭염은 이란성 쌍둥이

옛말에도 ‘겨울이 추우면 여름이 덥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겨울 날씨는 여름 날씨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지난 겨울의 혹한과 올 여름 폭염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요.


올 여름 폭염의 원인은 역대 두 번째로 짧은 장마로 인해 일찍 시작한 더위, 그리고 티베트에서 발달한 뜨거운 대륙고기압이 북태평양고기압에 힘을 보태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겨울에서 올 봄까지 티베트와 만주, 몽골 지역은 거의 눈이 내리지 않는 등 매우 건조한 날씨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뜨겁고 건조한 대륙고기압이 발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북반구 전체를 감싸는 대기 상황이 매우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어서 ‘열돔 현상’이 발생, 대기 흐름이 지나치게 안정적인 까닭에 우리나라 상공에 더운 공기를 품은 고기압대가 움직이지 않고 자리잡은 채 열을 내뿜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반구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상황인데요. 이 상황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제트기류 약화를 들 수 있습니다. 바로 지난 겨울 혹한의 원인이기도 한 제트기류 약화이지요.

제트기류는 빠르게 동쪽으로 부는 편서풍의 다른 이름입니다. 제트기류는 바람이 부는 위치에 따라 고도 9~12km을 지나는 상층 제트기류와 고도 1~3km 구간의 하층 제트기류가 있고, 위도에 따른 구분도 있습니다. 저위도 지방의 제트기류는 아열대 제트기류(서브트로피컬 제트)이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고위도 지방에서 부는 제트기류를 한대 제트기류(폴라 제트)라고 합니다.

제트기류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빠르게 불면서 에어커튼처럼 차단벽 역할을 합니다. 북극지역의 찬 공기와 아열대지역의 뜨거운 공기가 섞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죠.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차가 크면 클수록 제트기류는 빠르고 강해집니다. 그렇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이 따뜻해지고, 이에 따라 고위도와 저위도의 온도차가 적어지면서 제트기류가 약화되고 있습니다.

제트기류가 약화된 결과, 역대급 폭염이 밀어닥쳤습니다. 제트기류의 약화로 북반구에 정체성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뜨거운 공기가 움직이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울러 올 여름은 북극 지역 주변의 제트기류가 강화되었고,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또한 상승되는 악재가 더해졌습니다. 저위도 주변 제트기류가 힘을 잃어 대기를 움직이지 못하는 가운데 뜨거워진 바다에서 활발한 상승기류가 발생, 한반도 더위의 원인인 북태평양 고기압을 활성화시켰습니다. 북극 지역 찬 공기라도 내려오면 좋겠지만 북극 지역 주변 제트 기류가 강한 힘으로 공기 유출을 막고 있으니 더위는 사라질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제트기류의 약화가 겨울철 혹한을 가져오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지난 겨울의 경우 한대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북극 냉기가 거침없이 우리나라를 기습했습니다. 원래 제트기류가 강하게 막아주면 우리나라까지 내려오지 않았을 냉기였으나, 북극 지역이 따뜻해지면서 제트기류가 힘을 잃고 냉기를 가두어 두지 못했습니다. 정리하자면, 지난 겨울은 한대 제트기류의 약화로, 그리고 올 여름은 아열대 제트기류의 약화로 혹한과 폭염이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 우리 모두의 미래를 위협하는 상황

올 여름 폭염, 지난 겨울 혹한의 원인들을 분석해보면 지구 온난화라는 하나의 큰 현상으로 귀결됩니다. 제트기류 약화, 중국, 몽골 등 대륙의 건조성 기후, 해수면 온도 상승 등의 큰 원인은 지구 온난화에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올해 겨울이 작년 겨울보다 더 춥고, 내년 여름이 올해 여름보다 더욱 더워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입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온도는 점진적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온실가스 배출이 점점 심각해지면서 기온이 상승하는 속도에 가속이 붙고 결국 통상적인 기온 변동폭을 뛰어넘어 지금처럼 ‘초’ 고온 상태가 일상화되는 시점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시기는 대략 2030년대로 예상되며, 그러한 시기가 되면 상상할 수 없는 초 고온의 대기 온도는 물론, 봄이 사라지고 5월부터 9월까지 여름철 날씨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초래된 이러한 상황은 겨울철 한파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제트기류 약화로 북극 냉기가 남하하는 가운데 올 여름과 같은 대기정체 현상이 일어난다면 그때는 냉기가 그대로 블로킹되어 갇혀 있는 ‘냉기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혹한 아니면 폭염! 미래의 환경 재앙을 저지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은 지구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노력 뿐입니다.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일상 속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하는 삶만이 우리 후손에게 평화로운 지구를 물려줄 수 있는 것이지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친환경 교통수단을!

생활 속에서 가장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 활동으로는 화석연료 차량 운행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과 친환경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운행에 나서는 것입니다. 현대로템이 생산하는 철도차량, 트램 등은 온실가스 저감에 도움이 되는 대표적 친환경 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대의 차량에 많은 승객들을 빠르게 실어나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내뿜지 않습니다. 또한 정해진 노선을 달리는 철도차량의 특성 상 교통정체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에도 무관합니다. 교통정체로 인한 공회전과 그로 인한 배기가스 유출은 도심 대기오염의 대표적 원인인 까닭에,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통정체를 유발하지 않는 철도는 대표적 친환경 교통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후손 세대가 겪을지 모르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금 바로 우리 모두의 환경보호 노력이 필요합니다. 기후변화 문제는 농업ᆞ어업 등 식량자원을 비롯한 지구 자원의 분배와 인류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입니다. 영화 ‘설국열차’의 암울한 디스토피아적 미래가 현실이 되지 않도록, 현대로템은 온실가스 저감과 환경보호에 대한 지속적이고 책임 있는 활동을 이어 나가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